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rogramming
- Computer Science
- 소프티어
- Java script
- Spring Framework
- 알고리즘
- MySQL
- 백준
- nextInt
- JavaScript
- 프로그래머스
- programmers
- BFS
- java.lang 패키지
- 자바의 정석(기초편)
- Spring
- 영어원서
- softeer
- 해시
- 오블완
- Steve Jobs
- StringTokenizer
- 반복문
- 코딩테스트
- 티스토리챌린지
- thinking differently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Java
- SQL
- Python
- Today
- Total
목록DATABASE/MySQL (11)
도라에몽 개발자
스토어드 프로시저란? - MySQL에서 프로그래밍 기능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개체임. - SQL 프로그래밍은 기본적으로 스토어드 프로시저 안에 만들어야 함. 스토어드 프로시저의 형태 - DELIMITER $$ ... END $$ 안에 SQL 프로그래밍 코딩 내용을 작성하고, CALL 으로 호출함. - 구분 문자(DELIMITER)의 경우, $$ 대신 다른 기호(/, &, @, ...)를 사용해도 됨. 대신 다른 기호와 중복될 가능성 있어, 기호 2개 연속 사용하여 표현할 것을 권장함. -- DELIMITER $$ ... END $$ 1부터 100까지의 합(4의 배수 제외), 1000 넘으면 종료: 1014 END $$ DELIMITER; CALL whileProc() -- whileProc ..
정의 - 두 개의 테이블을 서로 묶어서 하나의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함. 종류 - 내부 조인 - 외부 조인 내부 조인(Inner join) - 두 테이블을 연결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내부 조인으로, 일반적으로 조인이라 하면 내부 조인을 의미하는 것임. - 두 테이블의 조인(join)을 위해서는 테이블이 일대다(one to may) 관계로 연결되어야 함. cf. 조인(join)은 3개 이상의 테이블로도 할 수 있으나, 보통 2개의 테이블로 하는 경우가 일반적임. 일대다 관계 (one to many) - 일대다 관계는 주로 기본 키(Primary Key; PK)와 외래 키(Foreign Key; FK)의 관계로 맺어져 있음. (= PK-FK 관계) Ex. 인터넷 쇼핑몰에서 각 회원들은 여러 ..
SQL의 데이터 형식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서 적절한 데이터 형식을 지정해야 함." 정수형(숫자형) 정의 - 소수점이 없는 숫자형 데이터 종류 ■ TINYINT (1 Byte): -128 ~ 127 ■ SMALLINT (2 Byte): -32,768 ~ 32,767 ■ INT (4 Byte): 약 -21 억 ~ 약 +21 억 ■ BIGINT (8 Byte): 약 -900 경 ~ 약 +900 경 UNSIGNED 예약어 - 정수형 데이터의 범위를 0부터 지정되도록 함. - 모든 정수형 데이터(TINYINT, SMALLINT, INT, BIGINT)에 적용할 수 있음. Ex. TINYINT 의 범위: -128 ~ 127 → TINYINT UNSIGNED 의 범위: 0 ~ 127 (둘 다 크기는 1..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및 테이블(table)을 만든 후에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입력 / 수정 / 삭제 기능이 필요함. INSERT - 데이터 입력 정의 - 테이블(table)에 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본적인 SQL 문 - 테이블(table)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명령 형식 INSERT INTO 테이블_이름 [(열1, 열2, 열3, ...)] VALUES (값1, 값2, 값3, ...) 주의사항 - 테이블_이름 다음에 나오는 열[(...)]은 생략 가능함. → 열 이름 생략 시, VALUES 다음에 나오는 값들의 순서 및 개수를 테이블을 정의할 때의 열 순서 및 개수와 동일해야 함. USE market_db; CREATE TABLE gsfresh (fruit_id INT, fruit_name ..
SELECT 문은 이미 생성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구문을 의미함. SELECT 문 (기본) 기능 - 구축이 완료된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추출함. 즉,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조회한 후 원하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의미함. - 기존의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음. 기본 형식 SELECT 열_이름 FROM 테이블_이름 WHERE 조건식 SELECT 문 실행 방법 - USE 문 - SELECT 문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지정해야 함. - 현재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지정/변경하려면 USE 문을 사용하면 됨. USE 데이터베이스_이름; Ex. USE market_db; → 지금부터 market_db 데이터베이스(DB)를 사용하겠으니, 모든 쿼리는 이 DB에서 실행하라는 의미임. ..

데이터베이스 모델링(Database modeling) 정의 - 테이블(table)의 구조를 미리 설계하는 개념으로, '건축설계도'를 그리는 과정과 유사함. -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 사용되는 사물이나 작업을 DBMS의 데이터베이스 개체로 옮기기 위한 과정을 의미함. 특징 - 프로젝트에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이 잘 되어야 제대로 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음. - 프로젝트 진행 시 사용하는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폭포수 모델(Waterfall model)'이며,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 절차 중 하나임. (→ 폭포수 모델의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은 업무 분석 및 시스템 설계 단계에 해당됨.)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에 대한 용어 정리 - 데이터(data): 하나, 하나의 단편적인 정보를 의미함. - 테이블..

요청하는 쪽 = Client (ex. Web Browser, Game Browser) 응답하는 쪽 = Server (ex. Web Server, Game Server) Database Client ./mysql -uroot -p 입력 시, → MySQL monitor가 Database Client임. MySQL 서버가 있는 곳에 MySQL monitor가 있음. Database Server GUI 기반 vs 명령어 기반 - GUI 기반: Workbench 활용 - 명령어 기반: Terminal 활용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데이터의 집합"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소프트웨어" 정의 - 데이터베이스(DB)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함. - 다수의 사용자 및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공유하고, 동시 접근이 가능해야 함. -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임. - 특정 목적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의미함. cf. Microsoft Excel의 경우, 대용량 데이터를 관리하고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는 개념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DBMS로 보기 어려움. → 즉, Microsoft Excel은 DBMS가 아니다. ▶ 데이터베이스(D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인 DBMS를 설치해야 함. 대표적인 DB..

"저장은 분산해서, 보여주는 것은 합쳐서" JOIN의 활용 SELECT * FROM topic LEFT JOIN author ON topic.author_id = author.id ; - SELECT * FROM topic LEFT JOIN author... → topic 테이블에 author 테이블을 결합시킴. - ON topic.author_id = author.id ; → 결합의 기준은 topic 테이블의 autho_id 필드값와 author 테이블의 id 필드값이 동일한지 확인하여 적절히 결합시켜줌.

Create (생성) Read (읽기) Update (수정) Delete (삭제) ★ 데이터베이스의 필수 기능: Create, Read ★ 데이터베이스의 선택 기능: Update, Delete ▼ MySQL 폴더에 접근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가 저장된 opentutorials로 접근함. ▼ 데이터베이스(database) 및 표(table)를 화면에 출력함. - 표(table)의 이름을 'topic'으로 생성해두었음. ▼ 이전에 각 열의 datatype 지정하여 저장해두었던 표(table; topic)를 화면에 출력함. ▼ 다음과 같이 INSERT INTO 테이블 이름 (Field 값 나열, ...) VALUES(각 필드 값 나열, ...); ▼ SELECT * FROM 테이블이름; 입력 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