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hinking differently
- 해시
- SQL
- nextInt
- java.lang 패키지
- BFS
- 영어원서
- Java script
- softeer
- Java
- 알고리즘
- programmers
- Steve Jobs
- 백준
- Python
- 자바의 정석(기초편)
- Spring Framework
- 반복문
- Spring
- Programming
- MySQL
- 코딩테스트
- 소프티어
- JavaScript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StringTokenizer
- 프로그래머스
- Computer Science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Today
- Total
목록Reflection/Programming (4)
도라에몽 개발자
개인/팀 프로젝트의 DB 설계 과정에서 가장 많은 고민을 했던 것들 중 하나가 DB에 저장했던 데이터를 언제, 어떻게 삭제할 것인가? 였다. 가장 처음에는 DELETE문으로 바로 삭제하면 되겠지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선, 언젠가는 필요한 때가 있을 수 있을테니 일정기간 동안은 데이터를 보관해야 하는 것 아닐까라고 의문을 표했다. 최근에는 그럼 무슨 데이터를, 어떤 사유로, 얼마만큼의 기간동안 데이터를 보관해야 하며, 언제 삭제해야 할 지 구체적인 고민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래서 어떤 프로젝트를 하든, 기본적으로 관리하게 되는 사용자 정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했다.보통 회원가입을 할 때 이름이나 생년월일, 휴대폰 번호, 주소와 같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DB에 저장한 사용자의 개..
▼ 이전에 싱글톤에 대하여 알아본 적이 있다.2024.07.11 - [KNOWLEDGE/디자인 패턴] - [디자인 패턴] Singleton 패턴 (Java, Spring Framework 비교) [디자인 패턴] Singleton 패턴 (Java, Spring Framework 비교)단 하나의 인스턴스 Singleton 패턴이란, - 인스턴스가 하나만 존재하는 것을 보증하는 패턴이다. - 마치 상수(constant)와 같은 역할로, 항상 같은 인스턴스를 반환할 수 있다. 싱글톤 패턴으로 만jjacksparrow-luna.tistory.com 단 하나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전역에서 해당 인스턴스를 재활용하여 사용한다는 점에서 메모리를 절약하고 데이터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기에 꽤나 유용한 패턴이면서도, 여러..
최근 진행한 프로젝트에서 회원가입과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면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했고 아래의 2가지 방법 중에 하나를 택하여 진행하기로 했다. 1)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Validator Interface를 직접 구현하여 커스텀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방식2) Java Bean Validation 표준을 기반으로 @Valid, @Validated 어노테이션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 2가지 방식 모두 활용해보고 기능과 장단점을 비교해보고 싶었으나, 프로젝트 발표가 예정되어 있음에 따라 한정적인 시간 내에 구현해야 했기에 하나만 선택해야 했다. 나는 먼저 존재했던 기술과 그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여 새롭게 만들어낸..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검증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의 안정성 및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상당히 중요한 행위이다.일반적으로 데이터 검증 절차는 front, back, DB에서 다층적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프론트 기술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 측에서 1차 처리를 하고 백엔드 기술을 활용하여 서버 측에서 2차 처리를 하며 데이터베이스 레벨에서 제약조건을 설정하여 잘못된 데이터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3차 처리를 해줄 수 있다. 3번의 유효성 검증 기능을 추가하며, 아래와 같은 고민을 하게 되었다.- 왜 3차례나 유효성 검증 절차를 진행해야 할까?- 유효성 검증은 한 번만 시행해도 문제 없지 않나?- 코드의 중복을 최소화 해야 한다고 배웠는데,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유사한 검증 내용을 3번이나 반복하는..